분류 전체보기
제 122회 전산회계 1급 합격
사무 업무를 보면서 회계관련 용어나 기초 지식이 필요하다고 느꼈다.쉽게 설명해주는 도서를 읽어보곤 했는데계정과목이나 분개 처리는 어떻게하는지 호기심이 생겨이왕 알아야하는거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시작했다. 흔히 말하는 노베이스였기에합격 후기를 찾아보고유튜브 무료인강 + 교재로 학습을 해나갔다. 총 학습시간은 대략 한달 소요했고,매일 저녁에 1시간 이상, 많게는 3시간 정도 투자했다. - 유튜브 박쌤 전산회계무료 인강에서 제일 유명하신 강사님 같다.아무것도 몰라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고,필요한 내용만 알차게 잘 알려주신다.전산회계 1급에는 2급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기에2급 인강 다 듣고 1급인강 전체를 배속으로 다 들었다.실습도 똑같이 따라했고, 인강을 들으니 확실히 빠르게 이해된다. 박쌤 전산회계교재구입..
기록
되돌아보지 못하고 돌보지 못했던 스스로를 다시 보게되는 요즘 이제서야 조금 정신이 차려지는 듯 하다.빠르게 흘러가는 시간에 무섭기도 허무하기도 한데 나름 여러 일들이 있었다.모든게 여의치 않고 욕심부려 내가 관심있는 것들에 시간을 조금씩 들이고 있다.3가지나 욕심내서 잡고있다. 인연이 참 신기하고 묘하다.뭐든게 인연따라 온거겠지.. 미루고 미루던 개발 공부를 시작하게 된 건 단 하나뿐의 사용자를 위해서다.상황을 설명하시면서 "이런게" 필요하다고 이야기 해주셔서 작은 미니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있다. 뜻밖에 그 상황에 맞추다보니 C#과 .NET으로 만드는중이다.저엉-말 작디작은 프로그램이지만 처음 접한 언어가 나를 열공하게 도와준다.(?)완성 후 과정과 결과를 정리해보리라... 언니를 도와주고 싶은 마음..
제 52회 SQLD 취득 후기
업무에서 SQL을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이론 공부도 할겸 자격증 준비를 시작했다 기본적인 SQL문 작성과 이전에 DB공부 했던작은 지식이 바탕에 있었다. 그렇기에 이전에공부를 하지 않고 갔다가 불합격을 받았다. 유명한 노랭이책이라고 불리는SQL 자격정점 실전문제 책으로일주일동안 퇴근학 1시간 ~2시간 정도 공부하였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399867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한국데이터진흥원 - 교보문고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는 국가공인 SQL 전문가 및 국가공인 SQL 개발자 자격시험 대비 수험서로 SQL 전문가 가이드에서 다루고 있는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SQL기본 및 활용,product.kyobobook...
리소스를 HTTPS 프로토콜 호출로 인한 ERR_SSL_PROTOCOL_ERROR 발생, Mixed Content
1. 문제 사항 테스트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도커로 nginx와 tomcat을 띄웠다. 테스트 서버는 사내IP에서만 접근이 가능하여 SSL인증이 따로 필요하지 않았다. 프론트에서 css, image 등 외부나 내부 API 호출할 때, 프로토콜이 HTTPS로 호출되어 ERR_SSL_PROTOCOL_ERROR가 발생하며 리소스들이 가져오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 2. 원인 웹 & 모바일 환경을 고려한 소스 코드 작성으로 모바일 테스트 서버에서는 HTTPS를 적용한 상태로 Mixed content, 혼합콘텐츠로 인해 HTTPS로 요청을 보내기 위해 프론트 코드에 추가한 META태그가 원인이였다. 3. 해결 해당 지식이 없어서 삽질을 많이했다. Nginx에서 리버스 프록시 설정에서 p..
SOLID
SOLID SRP, OCP, LSP, ISP, DIP의 약자 로버트 마틴이 정리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및 설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원칙을 의미한다. SOLID 원칙을 따르면 코드를 확장하고 유지보수 하기 좋아진다.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의 약자 단일 책임의 원칙 하나의 객체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응집도는 높게 결합도는 낮게 설계해야한다. 객체가 단 하나의 일만 한다면 시스템 수정 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OCP Open-Closed Principle의 약자 개방 폐쇠의 원칙 확장에는 개방적, 변경에는 폐쇠적이여야 한다.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될 때, 새로운 코드가 추가되면 기존의 코드에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해야한다. LSP Liskov Subs..